전체 글(109)
-
백준 알고리즘 10866번 - 덱
덱을 구현하면 되는 문제였다. 직접 덱을 구현할 수 도 있고, STL을 사용해도 되는 문제였고 귀찮아서 그냥 STL을 사용했다. push_back(), push_front() 함수가 STL에 구현되어있는 함수와 조금 다르므로 조심해야한다. 계속 틀렷다길래 자세히 봤더니...ㅠㅠ 문제 구현 자체는 엄청 쉬우니 소스코드로 대체한다.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 { deque d; int n; cin>>n; for(int i=1;i>order; if(order==..
2019.05.03 -
codeplus 스타트링크 백준 알고리즘 강의 기초 2강- queue, deque, ascii 코드,문자열
코드 플러스 백준알고리즘 강의 정리. 일+운동 다녀와서 엄청나게 피곤하지만.. 그래도 할 건 해야지...ㅠㅠ 오늘은 3강 큐와 queue란? 한 쪽 끝에서 자료를 넣고 다른 한쪽 끝에서 뺄 수 있는 구조. 터널이나 무빙워크 정도로 생각하면 편하겠다. 먼저 넣는 것이 가장 먼저 나오는 구조. queue는 c++에 STL에 있기 때문에 구현해서 쓰기보다는 가져다 쓰는 것이 편하다. c++의 경우 : queue java의 경우 : java.util.Queue queue의 STL APT push : 큐에 자료를 넣는 연산 . return 값이 없다 pop : 큐에서 자료를 빼는 연산. return 값이 없다 front :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자료를 보는 연산. 가장 앞에 있는 자료를 return한다. back..
2019.05.03 -
백준 알고리즘 1406번 - 에디터
스택으로 풀 수 있는 기본적인 문제. 이 문제를 푸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겠지만, 일단 생각나는 방법은 linked list, stack이 생각난다. 이 중에서 stack을 사용하면 편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같다. 문제를 자세히 보면 입력이 50만개(..)나 되는 관계로 runtime error을 조심해야한다. 풀이 1. 문자열을 담을 스택을 a,b 2개 만든다. 2. 커서가 스택 두개 사이에 있다고 생각하고, a 스택은 커서의 왼쪽 b 스택은 커서의 오른쪽이라고 생각하자. 3. 커서 왼쪽이동 = a 스택에서 top() 데이터를 pop()하고 그 데이터를 b에 push()한다. 4. 커서 오른쪽이동 = b스택에서 top() 데이터를 pop()하고 그 데이터를 a에 push()한다. 5. 삭제 연산 = b스..
2019.05.02 -
코드 플러스 스타트링크 백준 알고리즘 강의 기초 2강- 스택
코드 플러스 백준알고리즘 강의 정리. 1강부터 작성하려고 했지만 1강은 솔직히 그냥 몸풀기 같은 느낌이라 2강부터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 스택에 대해 알아봅시다. stack이란?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는 자료구조. 마지막에 넣은 것이 가장 먼저 나오는 구조(한쪽이 막혀있는 원통 생각하면 편할 듯 프링글스 통) stack은 c++에 STL에 있기 때문에 구현해서 쓰기보다는 가져다 쓰는 것이 편하다. c++의 경우 : stack java의 경우 : java.util.Stack STL apt 정리 push : stack에 자료를 넣는 연산. return 값이 없다 pop : stack에서 자료를 빼는 연산(자료가 스택에서 삭제된다). return 값이 없다 top : stack의 가장 위에 잇는 ..
2019.05.02 -
코드 플러스강의를 정리해서 작성할 예정입니다
안녕하세요. 2년뒤 acm 학교 대표와 입상을 노리는 goodwoong입니다. 어느덧 백준온라인 저지는 250문제 넘게 풀었는데, 아는 건 없는 것 같고, 불안에 떨고 있는(..) 상황이었습니다. 종만북을 열심히 읽어봤지만 너무 어렵기도 하고 하루에 한 문제 푸는 것도 벅차더라구요. https://plzrun.tistory.com/entry/%EC%95%8C%EA%B3%A0%EB%A6%AC%EC%A6%98-%EB%AC%B8%EC%A0%9C%ED%92%80%EC%9D%B4PS-%EC%8B%9C%EC%9E%91%ED%95%98%EA%B8%B0 알고리즘 문제풀이(PS) 시작하기 이런건 고수들이나 써야 하지 않나 싶지만, 그래도 1년정도 공부하면서 이 분야를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써보려 한다. 라고 운을 뗀다음..
2019.05.02